본문 바로가기

돈공부/부동산

[실전준비반 30기] 실전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투자의 기본 - 1주차 너나위님 월부강의 후기

 

 

출처:  https://cafe.naver.com/wecando7/5901577
 

 

 

 

 

 

뿌리깊은 실전 투자자가 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개념
 
 
1
투자 vs 실거주
자산형성의 순서
2
잃지 않는 투자
살아남아 승리하는 투자
3
저평가 판단
비교평가의 전 과정
4
갭투자의 오류
사지 말아야 할 것

 

 

 

 

실거주 vs 투자
 
 
 
실거주
투자
장점
거주 안정성 확보
자산형성 속도 빠름
단점
추가자산 형성 불가
거주상 불편요인
준비되지 않은 투자자
실력을 쌓는 시간
목숨 건 도박
준비된 직장인 투자자
걷기
추월차선

 

 

 

투자자의 실거주 마련 방법
 
 
투자 먼저
실거주 타이밍 희망지역 월세 거주
→ 이후 쌀 때 실거주 주택 매수 (유연하게)
비싼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
투자로 먼저 매입
 이후 보증금 마련시 입주
실거주 먼저
내집마련 먼저 진행
투자는 실거주 이후 자산 재배치
(전세주고 월세 이동)
싼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

 

 

 

 

 

 

잃지 않는 투자의 조건 4가지

 

잃지 않는 투자란? 더 벌진 못하더라도 덜 위함한 것에 투자해서 목표를 이룰 때까지 시장에 살아남는 투자

 

 

1. 시장은 예측블가 - Best를 택하려 하지 말고 Worst를 피하라

  • 전세가율 85%이상인 물건에 투자
  •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닌 저평가된 것 중 좋은 것을 골라 투자

 

 

2. 필연적 인플레이션 - 장기적 우상향만 신뢰하라.

  • 인플레이션 반영이 가능한, 수요가 충분한 대상에 투자
  • 지역 - 일정 규모 이상 도시 / 상품 - 아파트

 

 

3. 장기보유 - 단기변동은 중요하지 않다.

  • 목표 투자기간 내 단기변동은 무시(수도권, 광역시)
  • 대신 장기보유를 위해 필요한 것에 집중한다.
  • 단, 지방투자시엔 적절한 시점에 매도한다.

 

 

4. 리스크 대비 - 장기보유를 가능케 하라

  • 장기보유 & 수익실현 하려면 소유권 방어가 중요
  • 안정적 현금흐름, 전세금 변동분을 준비하라
  • 무리한 투자x, 신용상황 체크, 직장인 포지션

 

 

비교평가의 순서

1. 기초정보 : 평형/구조, 매매/전세, 전세가율

2. 입지비교: 직장, 교통, 환경, 학군

3. 입지대비 가격비교: 입지대비 가격 싼 것

 

 

 

비교평가의 결과물
  1. 임장보고서 - 아는 지역의 모든 것
  2. 내가 계속 확인할 단지: 시세 모니터링을 통해 흐름을 잡음(시세 모니터링)
  3. 내 생각: 지금은 어디가 싼걸까?

 

 

 

갭투자의 오류

갭투자 - 매매전세차이가 적은 물건에 투자

" 다른 건 모르겠고 이거 갭 작잖아! 하나 지르자"

 

전세투자 - 저평가 평균이상 자산을 사되 전세금을 무이자 레버리지로 활용

" 갭 적은 건 알겠는데 가격은 싼거야? 괜찮은 물건이야?"

 

 

전세투자는 가격, 지역, 물건을 먼저보고 갭투자는 투자금만 본다.

 


성장하는 습관

1. 독서

- 1Day 50Page plan

→ 1month 1500page, 한 달에 4!5권 가량, 잠들기 전 한 문단

 

 

2. 미모 (미라클모닝)

- 1시간 먼저 잠들고 1시간 먼저 일어나기

- 쫓기지 않으며 하루를 시작하는 것이 핵심

 

 

3. 암시

- 잠들기 전과 일어난 후 완전히 신뢰하며 소리내어 말하기

" 나는 1년 후 10개의 임장보고서와 2건의 투자를 한 실전투자자가 된다."

" 나는 5년 후 50억의 자산과 10억의 순자산을 가진 사람이 된다."

 

 

4. 점검

  • 매월 마지막날 반드시 혼자 3시간
  • 투자자로서 중요한 영역을 하나씩 돌아보고 잘한 것과 아쉬운 것을 "알아챈다"
  • 독서/임장/강의/투자

 

 

 

 

B.M

1. 아는 지역을 많이 늘리기

2. 아는 지역을 많이 늘려서 비교평가하기

3. 월1회 시세모니터링하기

4. 일독하기

5. 소리내어 자기 암시하기

6. 매월 마지막주 3시간 점검하기